티스토리 뷰


기회비용이라는 용어는 우리 생활속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오늘은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기회비용은 어떤 뜻을 가지고있는지 알아보고 그에따른 예시도 살펴보겠습니다.

 

<기회비용(機會費用) opportunity cost>

경제적관점에서 바라보았을때, 여러가지의 경제재 중 가장 효용성이 높은 것을 선택하고, 선택받지 못한 나머지 경재제들의 가치를 기회비용이라고 부릅니다. 즉, 어떤 최선의 행위를 위해 포기해야하는 다른 방안들의 최대 가치를 일컫는 말이지요.

 

*사실 경제적인 관점에서 이야기해보고자 조금 어렵게 쓴 말이긴 한데, 일상적인 상황에서 쓰여지는 기회비용과 같은 의미 입니다.

 

 

<경제 상황에서 쓰여지는 기회비용의 예>

역시 쉬운 예를 들어보면 이해가 빠르죠. A씨는 현재 10만원이 있습니다. 이돈을 어떻게 쓸까 고민한던 중 3가지 방안이 떠오릅니다.

첫번째 방안 : 친구에게 돈을 빌려주고 1년뒤 2만원의 이자를 받는다

두번째 방안 : 은행에 저축한 뒤 1년뒤 3만원의 이자를 받는다

세번째 방안 : 기업에 투자 후 1년뒤 4만원의 이자를 받는다

 

세가지 방안이 있었지만 A씨는 가장 안전한 은행 저축을 선택했습니다. 친구에게 빌려주면 받을 수 있는 이자가 너무 낮았고, 기업에 투자하면 은행이자보다 높은 금액을 이자로 받을 수 있었지만 기업이 망할수도 있다는 생각에 안전한 은행 쪽을 택한 겁니다.

 

여기서 A씨의 기회비용은 얼마가 될까요?

 

정답은 4만원 입니다. A씨가 포기한 가치는 첫번째 방안 2만원, 세번째 방안 4만원 두가지였지만 여기서 기회비용이라 함은 가장 낮은 비용도 아니고, 나머지 방안들을 합친 비용도 아니고, 선택하지 않은 방안 중 가장 높은 비용을 말합니다. 즉, 선택하지 않은 두가지 선택지 중 효용가치가 더 높은 4만원이 기회비용이 된 것이지요.

 

<합리적인 선택을 통한 차선의 선택>

인간의 욕구는 무한하며, 우리는 인생의 매순간 "선택"을 해야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모두 행할 수없고, 모두 가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합리적인 선택이 요구되며, 이러한 옳다고 판단되는 "차선"을 택하기 위해선 올바른 문제의 인식, 가능한 대안 파악, 최선을 선택할 수 있는 자질이 요구됩니다. 지금까지 우리의 인생이 과거로부터 자신의 선택해온 결과물이라고 생각해볼때, 잘못했다고 생각되는 선택도 있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잘 했다는 선택지도 있을겁니다. 그때는 맞다고 생각했던 선택이 지금은 후회될 때도 있습니다. 앞으로 살아갈 날에 좀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기위해, 우리는 하루하루 선택이라는 문제집을 풀고있는건지도 모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