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윈도우10 타임라인 삭제 및 끄기>

윈도우10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중에 타임라인 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자신이 컴퓨터를 사용했던 기록을 연대표 형식으로 만들어서 보여주는 기능인데, 필요에 의해서 사용하는 기능이라면 편리한 기능일 수 있지만, 기본 설정으로 자동으로 실행되어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음에도 이 기능을 사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개인이 혼자 사용하는 PC라면 크게 상관은 없지만 여럿이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컴퓨터, 직장의 공용 컴퓨터에서 이 기능이 활성화 되어있다면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10 타임라인의 기록을 삭제하고, 활성화 되지 않도록 기능을 끄는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10 타임라인>

먼저 타임라인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10 하단의 작업표시줄을 보시면 검색창 옆에 타임라인 버튼이 있습니다.



위의 붉은색 네모박스 친 부분이 타임라인 버튼입니다.



타임라인에 들어오시면 지금까지 PC에서 사용했던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설정한 날짜에 따라 과거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했던 기록 중 지우고 싶은 기록이 있다면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면 (제거) 버튼을 통해 삭제가 가능합니다. 기록중 일부분만 삭제하고 싶을땐 이 방법을 통해 제거하면 되지만 전체적인 기록 삭제나 기능 자체를 끄고싶다면 다른 방법을 통해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윈도우키+i 버튼을 눌러 윈도우 설정으로 들어와 줍니다. 위와 같은 화면에서 (개인 정보)를 눌러줍니다.


개인정보 설정에서 좌측 중앙의 (활동 기록)을 눌러줍니다. 이곳에서 타임라인의 모든 기능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먼저 가장 상단에 있는 이 장치에 내 활동 기록 저장에 체크를 해제해 주시면 더이상 타임라인에 활동 기록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microsoft에 내 활동 기록 보내기 또한 체크 해제 해주시면 더이상 내 활동기록이 마이크로 소프트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맨 아래부분의 활동 기록 지우기 버튼을 통해 삭제해주시면 타임라인의 기록이 삭제됩니다. 위와 같이 모든 설정을 해제하고 활동 기록 까지 지워주신 후 이제 타임라인으로 가보겠습니다.


설정을 완료해 주신 뒤 타임라인으로 들어와 보면 현재 활성화 되어있는 창만 보여지고 나머지 기록들은 모두 사라졌습니다. 활성화되어 있는 창도 끄게되면 타임라인에는 아무것도 보여지지 않게 됩니다.

더이상 기록이 저장되는 일도 없으니 사생활 침해에 대해서도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윈도우10 파일 탐색기에서 최근 사용한 파일에 대한 기록을 보이지 않게 하는 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되도록이면 이 부분까지 설정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기본으로 되어있는 설정은 위의 붉은색 네모박스 친 부분 처럼 최근에 사용한 파일 기록이 남게끔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놓치게 되면 타임라인 설정을 끄더라도 개인 사생활 노출위험이 있습니다.


해당 폴더에서 상단메뉴에 있는 (보기)를 누르면 우측 상단으로 (옵션)이 보입니다 옵션을 누르면 아래쪽으로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이 뜹니다. 눌러줍니다.


위와같이 폴더옵션이 열리면 (개인 정보 보호)에서 최근에 사용된 파일 표시 부분 체크되어있는 것을 모두 해제해 주신 뒤 적용,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더이상 최근에 사용된 파일 기록이 남지 않습니다.


오늘은 윈도우10 타임라인 삭제 및 해제, 파일 사용기록을 해지하는 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2인 이상이 사용하게되는 PC나 노트북에서는 되도록이면 기록이 남지 않게끔 설정하시어 불편한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