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내 아이피 주소 확인 방법>

ip주소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을 구별(식별)하기 위한 각각의 고유 번호로, Internet Protocol의 약자 입니다. 어려운 개념같이 보이지만 사실 우리가 거주하는 집에는 각자의 집주소가 있듯이, 인터넷이라는 세계에서 내가 있는곳의 주소가 바로 아이피(ip)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아이피를 확인해서 사용하는일은 드물지만, 시스템 공유나 네트워크 프린터 연결, 공유기 설정 등에서 종종 사용될 때가 있습니다. 자주 쓰지 않아서 막상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될때가 있는데, 사실 매우 간단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3가지 방식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먼저 참고하실 점은 방법1, 2의 경우 인터넷 연결 시 공유기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확인 할 때마다 아이피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사설IP) 그러나 컴퓨터 네트워크가 모뎀으로 직접 연결되어있는 경우라면 방법 1,2,3 모두 동일한 IP주소가 도출됩니다. 혹시라도 자신의 컴 네트워크가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어있는지 모르시거나, 네트워크 연결작업을 하시는 목적이라면 3번 방법으로 확인하시고 진행하시는것이 좋습니다.(공인IP)



<확인방법 1>

첫번째는 모든 윈도우 버전에서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방법 입니다. 가장 고전적인 방법이면서도 가장 정확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윈도우+R 키를 함께 눌러줍니다.


실행 입력창에 cmd 를 입력 후 (확인)버튼을 눌러줍니다.


도스창이 나오면 ipconfig 를 입력후 엔터를 눌러줍니다.


위와같이 ip구성 정보가 나오는데, 여기서 (IPv4 주소) 항목이 해당 컴퓨터의 ip주소 입니다. 저의 경우 와이파이를 연결해 놓은 상태라 (무선 LAN 어댑터 Wi-Fi) 항목에서 나오는데, 랜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해 놓으셨다면 (이더넷 어댑터) 항목에서 보여지실 겁니다. IPv4 부분만 잘 확인하시면 됩니다. 


<확인방법 2>

두번째 알아볼 확인법은 윈도우10 기준으로 설명드리며, 방식의 차이 일 뿐 결과는 동일 합니다. 편하신 방법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버튼이 있는 작업표시줄 검색창에 "네트워크 상태"를 검색합니다.


시스템 설정의 네트워크 상태 기능이 검색됩니다. 눌러줍니다.


좌측 상단의 (상태) 버튼을 누르고 조금 아래로 내려주시고 (네트워크 속성 보기) 버튼을 누릅니다.


많은 정보중에 이 역시 (IPv4 주소)만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해당 컴퓨터가 사용중인 아이피 주소입니다.



<확인방법 3>

마지막으로 가장 간단한 방법 입니다.

네이버나 다음 검색창에, "내 아이피 주소 확인" 이라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너무 간단하죠? 이제 알아낸 해당 아이피를 통해 네트워크 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위 방법들이 보기엔 복잡해 보이지만 막상해보면 30초도 안걸리는 쉬운 방법들이니, 모두 한번씩 해보시고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