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 상품을 팔면 나에게 얼마가 떨어질까?>

쇼핑몰에 등록할 상품의 가격을 책정할때, 이제품을 얼마에 가져와서 얼마에 팔면 나한테 얼마가 남겠다. 라는 계산을 먼저하고 판매가격을 설정하게 됩니다. 저의 경우 제품 하나 판매시 몇천원 정도 남는 용돈벌이 정도의 규모로 운영하고 있는 중이라, 초반엔 머릿속으로 대략 계산해서 올리곤 했는데, 상품수가 조금씩 늘어나면서 리스트를 만들 필요성도 생기고, 마진율을 정확히 얼마를 가져올건지 설정하는것도 재미있더라구요. 그래서 엑셀파일을 이용해 마진 계산기를 만들어 봤습니다. 위탁판매만 진행하고 있어서 머리아픈 변수 없이 아주 기본 적인 택배비, 수수료 등만 넣어서 만들었습니다. 머릿속으로 계산하는것보다는 훨씬 정확하고 좋네요. 혹시 필요하신 분들이 있을까해서 공유해볼까 합니다.


 


마진계산기는 대략 이렇습니다.

우리가 알고싶어하는 마진가과 마진율을 계산하기 위해선 일단 스토어에서 판매가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나에게 들어오는 <정산가>에서 거래처에서 들여오는 <공급가>(택배비포함)를 뺀 계산이 이루어 져야 합니다.


<정산가> 계산은,

(상품의 판매가+택배비)-((상품의 판매가+택배비) * 네이버에 납부하는 수수료) = 최종 정산가

입니다. 판매가 이루어지면 네이버에게도 일정 금액의 수수료를 내야하는데, 고객이 어떤 결제수단(신용카드, 휴대폰결제, 현금 등)을 사용했는지에 따라 수수료율이 달라집니다. 수수료 %는 다음과 같습니다.


네이버 쇼핑 연동수수료(2%)는 무조건 포함되는 수수료라고 생각하고, 결제수단에 따른 수수료를 살펴보면 고객이 휴대폰 결제를 이용해 상품을 구매했을때 3.85%로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가 가장 높습니다. 계좌이체의 경우 1.65% 밖에 되지않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결제 수단에 따라 약3.5~6%의 수수료를 내야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고객이 어떤수단으로 결제할건지는 예측할 수 없으므로 마진계산기에서는 최대수수료인 6%로 수수료율을 정했습니다. 보통 휴대폰 결제와 신용카드 결제를 많이 하므로 수수료는 6%다 라고 생각하시면 마음이 편합니다. 참고로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기준 수수료 %이며, 다른 기타 오픈마켓은 수수료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정산가 계산이 끝났다면, 이제 <마진>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정산가-(공급처 제품 공급가+택배비)=마진가 입니다. <마진율>은 마진가/정산가로 백분율로 표기됩니다.


지금까지 드렸던 설명은 어떻게해서 최종적으로 마진 계산이 나오는지를 설명드리기 위해 말씀드린 부분이고, 첨부한 파일에는 자동 수식이 모두 걸려있으므로 계산은 따로 하지않고 숫자만 넣으시면 됩니다. 상황에맞게 응용해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마진 계산기 (끝)


스토어 마진계산기.xls





 


댓글